원래는 미국의 추수 감사절인 11월 네 번째 목요일의 바로 다음 날인 금요일에 열리는 것이 이 블랙프라이데이인데요. 미국의 소매업체의 경우 1년 매출의 70%가 이때 이뤄진다고 합니다. 최근에는 한국에서도 쇼핑 비수기인 11월에 자체적인 블랙프라이데이를 진행하는 브랜드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전의 한국 블랙프라이데이는 허울뿐이라는 소비자들의 불만이 있었고, 최근에는 고물가로 슈링크플레이션까지 보여서 이번 한국 블랙프라이데이의 성적은 어떨지 주목됩니다.
블랙프라이데이 외에 이커머스 업계에도 지난 2주간 많은 소식이 있었습니다. 쿠팡과 납품단가로 갈등이 있었던 CJ제일제당은 쿠팡으로부터 완전한 독립 준비를 마쳤습니다. 큐텐의 11번가 인수 협상은 결국 결렬되어 이커머스 업계에 지각 변동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이슈 피킹패킹 | 물류·이커머스
'햇반대전' 예상 밖 결과... 쿠팡과의 헤어질 결심 커지는 이유
식품업계 1위 CJ제일제당이 이커머스 1위 쿠팡을 내년 납품 매출에서 제외했습니다. CJ제일제당이 쿠팡 거리두기를 선택할 수 있었던 이유는 이커머스의 부상으로 유통 채널이 다양화되면서 선택지가 늘어났기 때문입니다.
🔎CJ제일제당과 쿠팡의 갈등은 대표적인 제조업체-유통업체 간 갈등 사례입니다. 유통업체들은 실적 향상을 위해 제조업체의 납품단가를 낮추기 위해 노력했는데요. 납품단가 인하 조건을 수락할 경우 역으로 제조업체의 수익에 악영향이 올 수 있어 대형 유통채널로부터 독립하고자 하는 적극적인 움직임이 보입니다.
큐텐과 인수 협상 결국 '결렬'... 11번가의 운명은?
11번가가 큐텐과 진행하던 지분 인수 협상이 결렬되면서 진퇴양난에 빠졌습니다. 연내에 투자받은 5000억 원에 연 8%의 이자를 더한 금액을 투자자에게 상환하거나 최악의 경우 강제 매각이 이뤄질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큐텐은 이번 협상에 대해 아쉬움이 클 것으로 보입니다. 11번가를 인수할 경우 티몬, 위메프, 인터파크까지 합하면 이커머스 점유율 3위로 올라설 전망이 우세했기 때문입니다. 추후 협상 대상자로 9월까지 관심을 드러냈던 아마존과 알리바바가 언급되고 있으나 공식적으로 밝혀지는 바는 없어 국내 이커머스에 지각변동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온라인쇼핑몰 N잡러에겐 지금이 기회? 이커머스 업계, 셀러 확보 경쟁 중
판매자가 더 수월하게 제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돕고, 수수료 인하·선정산 서비스 등의 지원책을 내놓고 있습니다. 지그재그는 1인 판매자를 위한 원스톱 쇼핑몰 창업 솔루션 '직잭메이트'로 샘플 구입부터 CS까지 전과정을 지원합니다. 에이블리는 선정산 서비스 '데일리페이'를, SSG닷컴은 월 목표 매출액을 달성한 셀러에게 축하금과 광고비 혜택을 지원합니다.
🔎 상위 노출이 곧 스토어 매출과 연결되기 때문에 많은 판매자분들이 신경쓰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렇게 불공정한 방법으로 이뤄진 판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언젠가 타격을 받을 수 있습니다. 소비자의 진짜 인기를 얻은 것이 아니기 때문이죠. 공정한 방법으로 얻는 인기가 탄탄한 스토어 성장의 기반임을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이슈 피킹패킹 | 지원·정책
서울 중소기업의 '수출 날개 달기, 해외 진출 세미나' 참여 기업 모집
서울경제진흥원에서 서울 소재 중소기업의 해외시장 확대를 위한 세미나를 총 2회 개최합니다. 이번 세미나는 자사 상품 보유 및 수출 경험이 있는 제조사를 대상으로 수출 확대를 위해 알아두면 도움이 될 수 있는 해외 전시 마케팅 노하우, 해외 지향 브랜드 마케팅 등의 내용으로 구성해 진행됩니다.
유튜브 어플리케이션 사용시간이 카카오톡과 네이버를 압도적으로 능가하며 국내 사용자가 가장 오래 이용하는 앱 1위에 등극했습니다. 조사에 따르면 지난 10월을 기준으로 유튜브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시간은 총 1044억분으로 카카오톡과 네이버에 비해 각각 3배와 5배에 달합니다.
🔎유저들의 앱 체류시간을 늘리는 것이 지속적인 플랫폼 활성화의 관건입니다. 한국인 10명 중 9명이 숏폼 콘텐츠를 시청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런 흐름에 맞춰서 네이버와 카카오톡 또한 각각 '클립'과 '펑'이라는 숏폼 콘텐츠 기능을 출시했습니다. 지난 이슈 피킹패킹에서도 언급했던 바와 같이 숏폼을 통한 제품 콘텐츠 홍보가 매출에 긍정적인 효과를 불러올 것으로 보입니다.
셀링 비법노트 #6 | 리뷰 관리하는 방법
고퀄리티 리뷰가 곧 구매 전환의 지름길!
한국 소비자원의 조사에 따르면 무려 93.8%가 구매 하기전에 리뷰를 확인한다고 합니다. 그만큼 스토어 성장에 있어서 리뷰 관리가 중요함을 보여주는 수치인데요. 오픈한지 얼마 되지 않은 창업 초기의 온라인 스토어나 신제품을 출시할 예정이라면 소비자에게 '이것'을 제공하기 위해 양질의 리뷰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것'은 무엇일까요? 양질의 리뷰를 관리하는 자세한 방법을 셀링 비법노트에서 알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