숏폼은 일상의 빈틈을 파고들다 완전히 자리 잡아 이제는 언제 어디서나 숏폼을 보는 사람들의 모습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숏폼을 한 번 시청하기 시작하면 빠져나오기 어려운 이유는 짧고 강렬한 영상이 판매자님의 수동적 뇌 신경계를 활성화하기 때문이라고 하는데요. 최근에는 숏폼을 활용한 쇼핑이 차세대 이커머스로 떠오르며, 많은 쇼핑 플랫폼이 숏폼을 활용한 판매를 앞다퉈 준비하거나 내놓고 있습니다. 2024년 첫 아르고 이슈박스에는 숏폼 마케팅의 효과와 공략 가이드 그리고 이 밖에 주요 이슈를 담아 전해드립니다.
📦이번 이슈박스 속 이슈들
• 제품 카테고리별 숏폼 제작 가이드와 레퍼런스
• 30초면 결정 끝? 틱톡샵으로 보는 숏폼 쇼핑의 효과
• 대형마트, 의무휴업·영업시간 외 배송 규제 폐지
• 11번가, 판매자에 서버이용료 부과 시작
셀링 비법노트
숏폼 마케팅, 제품 카테고리별로 공략하세요!
조사에 따르면 국내 SNS 이용자의 10명 중 9명은 숏폼을 보며, 유튜브에서도 전체 채널 조회수의 90%를 쇼츠가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숏폼은 짧은 길이로도 많은 조회수를 만들 수 있어 효과적인 마케팅 수단으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숏폼 종류 4가지
• 클립형 : 일반 영상에서 하이라이트 부분만 짧게 편집한 영상
• 챌린지형 : 주어진 테마나 컨셉에 맞춰 찍은 영상
• 일상 스케치형 : 일상에서 흔히 겪을 수 있는 상황을 각색해 공감대 형성
• 정보 전달형 : 제품 리뷰 혹은 유용한 정보 전달
위의 숏폼 주제를 바탕으로 각각의 제품 카테고리에 적합한 숏폼을 제작해야 효과적으로 잠재 고객을 공략할 수 있는데요. 특히 패션 카테고리에서는 제품 시연 영상의 인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더 자세한 제품 카테고리별 추천 숏폼 종류와 레퍼런스는 본문에서 확인해 보세요.
숏폼은 쇼핑몰 인지도 향상과 함께 구매 전환에도 효과적입니다. 영상의 길이가 짧음에도 불구하고 영상 소비의 허들이 낮아 오히려 잠재 고객의 플랫폼 체류시간이 길어졌기 때문인데요. 특히 해외에서는 숏폼의 인기를 주도한 틱톡의 틱톡샵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2023년 해외 틱톡샵 현황
• 베트남 : 라자다·티키 제치고 점유율 2위 달성
• 인도네시아 : 전년 대비 매출 두 배 이상 상승
• 미국 : 10월 하루 매출 1,000만 달러 달성
틱톡샵은 해외에서 무서운 속도로 성장하며 최근 국내 시장 확대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이런 흐름에 따라 국내 이커머스 플랫폼에서도 앞다퉈 도입하는 숏폼 쇼핑은 어떤 점 때문에 인기를 얻고 차세대 이커머스로 떠올랐을까요? 자세한 내용을 본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대형마트는 휴일 의무휴업일과 영업시간 외 배송이 금지되어 있었지만, 이제 이 같은 규제가 폐지됩니다. 이전까지 규제로 인해 전통시장이 아닌 이커머스 업계가 혜택을 봤다는 주장이 지속되었는데요. 이번 규제 폐지로 대형마트들은 새벽과 휴일 배송까지 가능해져, 쿠팡과 같은 기존 이커머스 업계가 커버하지 못하는 지역의 소비자들을 유입시킬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11번가, 판매자에 서버이용료 부과 예정
11번가 판매자를 대상으로 오는 2월부터 서버이용료 제도를 도입합니다. 판매수수료와는 별도로 부과되며, 전월 구매확정액이 500만 원 이상인 경우 매달 서버이용료 77,000원을 내야 합니다. 대신 서버이용료 대상 판매자에게는 유료로 선보일 예정인 'AI셀링코치' 등의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할 예정입니다. 일각에서는 11번가가 불어나는 적자를 줄이기 위해 수익 개선에 나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유난히 추운 패션 이커머스 현황
패션 이커머스 업계가 중국 이커머스의 성장과 소비 위축의 영향으로 긴축 경영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무신사는 솔드아웃의 적자를 인력 감축, 복지 혜택 축소, 계열사 정리 등으로 수익성 개선을 위해 노력하는 모습이고, 지그재그와 에이블리 같은 동대문 기반 쇼핑앱도 지속 가능성을 고민하며 고효율 경영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경기 침체, 저성장 기조로 패션 이커머스 성장에 한계가 드러나며 신규 브랜드 발굴이나 자사몰 강화 등의 시도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알리익스프레스, 국내 홈쇼핑 만날까
중국 알리익스프레스가 한국 홈쇼핑 업체와 시장 공략 강화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국내 홈쇼핑은 4060세대 고객층이 두텁고, 알리익스프레스는 1030세대가 주 고객이기 때문에 협업을 통해 고객층을 확대하고, 추가 DB확보로 수요를 분석해 공략을 강화하려는 것으로 보입니다.
네이버 쇼핑 상세페이지에 AI추천 생긴다
네이버가 신규 판매자 등의 상품 노출을 지원하기 위해 상세페이지에 AI추천 기능 도입을 추진합니다. 정식 도입 전, 상세페이지 상하단 두 곳으로 나누어 효율 측정을 위한 노출 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해당 기능은 이용자 이력, 상품 연관도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상위 노출 기회가 적은 신규 판매자의 상품도 노출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최근 틱톡과 같은 숏폼 SNS에서는 말 없이 제품을 소개하는 리뷰 콘텐츠가 인기입니다. 아무 말없이 여러 제품을 상세히 보여주며 제품을 두드리거나 만지는 소리만 촬영해 'ASMR'과 비슷한 영상의 형태로 리뷰하는 것인데요. ASMR이 주는 쾌감을 짧은 숏폼에 녹이며 큰 시너지를 낸 것으로 보입니다.
반려동물 가구 550만 시대, 펫푸드&펫마케팅 경쟁
국내 반려동물 가구 증가와 함께 관련 시장 규모가 매년 평균 14.5%씩 커져 2027년에는 15조 원까지 확대될 전망입니다. 식품 업계에서는 이 같은 시장 현황에 맞춰 펫푸드 시장 선점을 위한 공략에 나서고 있습니다. 펫푸드뿐만 아니라 반려동물과 함께 여행을 떠나는 펫투어족의 증가로 반려동물 수송량도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